누가복음 20장 41절~ 47절 (그리스도와 다윗의 자손)
주가 되시는 그리스도
41 예수께서 그들에게 이르시되 사람들이 어찌하여 그리스도를 다윗의 자손이라 하느냐
42 시편에 다윗이 친히 말하였으되 주께서 내 주께 이르시되
43 내가 네 원수를 네 발등상으로 삼을 때까지 내 우편에 앉았으라 하셨도다 하였느니라
44 그런즉 다윗이 그리스도를 주라 칭하였으니 어찌 그의 자손이 되겠느냐 하시니라
서기관들을 삼가라
45 모든 백성이 들을 때에 예수께서 그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46 긴 옷을 입고 다니는 것을 원하며 시장에서 문안 받는 것과 회당의 높은 자리와 잔치의 윗자리를 좋아하는 서기관들을 삼가라
47 그들은 과부의 가산을 삼키며 외식으로 길게 기도하니 그들이 더 엄중한 심판을 받으리라 하시니라
누가복음 21장 1절~ 4절 (가난한 과부의 헌금)
과부의 두 렙돈
1 예수께서 눈을 들어 부자들이 헌금함에 헌금 넣는 것을 보시고
2 또 어떤 가난한 과부가 두 렙돈 넣는 것을 보시고
3 이르시되 내가 참으로 너희에게 말하노니 이 가난한 과부가 다른 모든 사람보다 많이 넣었도다
4 저들은 그 풍족한 중에서 헌금을 넣었거니와 이 과부는 그 가난한 중에서 자기가 가지고 있는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 하시니라
QT 묵상
주가 되시는 그리스도
마태복음 1장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에서 보듯 사실 예수님은 다윗의 후손이 맞다. 예레미야 23장 5절에는 다윗에게 한 의로운 가지를 일으켜 그가 왕이 되어 지혜로 다스리며 세상에서 정의와 공의를 행한다고 했다. 예수님이 다윗의 후손으로 태어난다는 구약 예언도 성취되었다. 본문 예수님이 말씀하시는 내용처럼 하나님과 인간은 동격을 취할수도 없고 동일 선상에 절대 설수 없을만큼 비교 불가하다 하나님 가장 가까운 우편(우편은 가깝게 계시다는 상징적 표현)에 계시는 예수님은 하나님이 결정 하시는 순간 사탄이 발등상에 있을수 있고 사탄이 하나님의 주권으로 심판 받을때 이 세상에 다시 오실것이다.
국가 이스라엘은 예수님을 메시아로 인정하지 않고 아직 이땅에 메시아가 오지 않았다고 믿는다. 그들의 국기의 육각 별모양은 다윗의 방패에서 유래한다. 그만큼 다윗을 이스라엘의 위대한 사람으로 인정하고 있다. 다윗을 높이고 있지만 사람 다윗과는 비교가 안될 이 세상을 통치하는 예수그리스도를 놓치는 우를 범하고 있다.
서기관들을 삼가라
그 당시 서기관은 율법교사로 율법에 능통하고 산헤드린 공회 (이스라엘 최고 통치기관)의 핵심 인물이였다. 그들은 높임 받는데 익숙했던것같다. 인정받기 위해 더욱 율법에 치중했고 언제나 높은 자리에 앉아 있었다. 그리고 율법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가난한자들에게 착취 했었던것 같다. 예수님은 그들이 엄중한 심판을 받을거라고 말씀하신다. 아이러니한 사실은 현재 교회에서도 말씀을 잘아는 사람들은 오히려 겸손하고 율법대로 따라 살것 같지만 오히려 교만해지고 다른사람을 판단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다. 예수님은 그런 사람들을 삼가라고 말씀하신다.
과부의 두 렙돈
우리의 마음을 보시는 하나님께서 많은 돈을 낸 부자보다 두 렙돈을 낸 과부를 칭찬하신다. 두 렙돈을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약 1천원 정도라고 한다. 우리의 헌금의 액수가 아닌 마음이 중요하다고 말씀하신다. 우리는 너무 계산적이라서 우리 생각대로 하나님을 생각한다. 성경 내용처럼 부자가 나에게 많은돈을 주고 과부는 나에게 1천원을 줬다고 생각하면 나는 부자에게 더 많은 고마움을 느끼고 인정할것이다. 나의 생각에는 그 마음보다는 돈에 액수가 더 크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님은 과부가 다른 모든 사람보다 많이 넣었다고 한다. 예수님의 마음은 액수의 많고 적음이 아닌 지금 처한 환경에서 보시기 때문이다. 가지고 있는 생활비에서 전부를 넣었다고 하는데 이 과부의 믿음은 하늘을 찌르고 감사함이 넘쳐 헌금을 함이 분명하다.
QT 나눔
나는 사람이지만 내가 믿는 하나님을 낮게 보는 경우가 많다. 말은 내삶에 주인이라고 인정하지만 내 삶은 나의것이라고 생각해 내 마음가는대로 행동하는 경우가 많다. 반성이 많이 된다. 사람과는 비교가 안되는 높은 지식과 지능을 가진 마귀를 발등상으로 삼을 정도로 힘이 있는 하나님을 나는 낮게 평가하고 있다. 그는 위대하시고 나에게 평가 받을분이 아니다. 모든 세상 만물의 주관자 하나님을 권위를 인정하는 내가 되길 바란다.
내가 신앙적으로 올바르다고 내가 가진게 많다고 돋보이기 원하는 사람의 죄성 이것은 살아생전 평생 싸움이 될것이다. 서기관들도 계속해서 인정을 받다보니 이렇게 변질된것 같다.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신앙은 하나님이 기뻐하시지 않으신다. 이 본문의 반대로 산다고 하나님의 축복을 받는 삶이 될것이다. 옷 차림을 간단히하고 다른 사람들을 섬기고 과부와 어려운 자를 돕고 기도 시간에 사람이 아닌 하나님께 집중한다면 이것은 하나님께 인정을 받는 삶이다. 하나님의 축복을 받는 내가 되길 기도한다.
두 렙돈 본문을 읽으며 내 자신이 부끄럽다. 나의 헌금 생활은 먼저 내 예산을 세우고 나머지 부분에서 이루어 지기 때문이다. 십일조를 낼때도 소수점부터 올려서 드리면 되는데 낮출까 생각도 하고 계산적인 것이다. 과부의 하나님을 신뢰함이 부럽다. 그동안도 먹여 살려 주셨기에 내가 힘든 상황이지만 주님의 나라를 위해 헌금하리라 그리고 주님께서 앞으로도 인도해주시리 이런 마음 아닐까 생각한다. 사실 십일조만 내고 나머지 90%는 내 맘대로 써야지 라고 하는것은 불의이며, 나머지도 하나님 나라에 맞게 써야 한다. 내 모든 소유는 내것이 아닌 하나님이 주신 선물이기 때문이다. 믿음이 없어 바로 실천할수는 없지만 주님께 계산적이지 않아 감사함과 마음의 감동으로 물질을 드리는 내가 되길 기도한다.
댓글